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83)
CO 관련 원장, 통화, 평가뷰 - (2) 원장 지난 글에서 원장, 통화, 평가뷰에 대한 개요를 봤고 통화유형에 대해서 더 깊게 살펴봤다. 이제는 이 통화유형이 담길 원장을 어떻게 구성하는지 살펴볼 차례다. 이전 글을 안 읽고 오신 분은 먼저 아래를 클릭해서 읽고 와주시길. 2022.02.10 - [SAP CO/기본 개념] - CO 관련 원장, 통화, 평가뷰 - (1) 통화유형 CO 관련 원장, 통화, 평가뷰 - (1) 통화유형 SAP CO의 기본 구성요소와 가장 중심 조직구조인 관리회계 영역(Controlling Area)에 대해서 살펴봤다. 그리고 CO 전표의 번호범위까지 살펴봤다. ECC였다면 다음으로 봐야 할 건 CO 버전이었을 텐데, 그 ckm3.tistory.com 1. 원장 세팅 우선 '원장' 이란 게 실제 시스템에서는 어떤 식으로 기능하..
CO 관련 원장, 통화, 평가뷰 - (1) 통화유형 SAP CO의 기본 구성요소와 가장 중심 조직구조인 관리회계 영역(Controlling Area)에 대해서 살펴봤다. 그리고 CO 전표의 번호범위까지 살펴봤다. ECC였다면 다음으로 봐야 할 건 CO 버전이었을 텐데, 그전에 FI와도 연계된 '원장'과 '통화', '평가뷰'에 대한 세팅을 먼저 공부하는 게 S/4HANA 시대의 맥락상 맞을 것 같다. 이 글은 아래 글들에서 이어진다. 2021.12.30 - [SAP CO/기본 개념] - SAP CO의 기본 구성요소 (1) 2022.01.02 - [SAP CO/기본 개념] - SAP CO의 기본 구성요소 (2) 2022.01.09 - [CO IMG 세팅] - #1. SAP 조직구조 - 관리회계 영역 세팅: (1) 기본 데이터 2022.01.13 - [CO I..
연산품과 부산물의 결합원가 계산 (2) 지난 글에 이어서 연산품과 부산물의 결합원가 계산을 해보자. 지난 글에서는 마스터 데이터 세팅과 표준원가 계산까지 해봤다. 이번에는 월중 물류흐름과 원가결산까지 수행해보겠다. 2022.01.31 - [SAP CO/깊숙한 개념] - 연산품과 부산물의 결합원가 계산 (1) 연산품과 부산물의 결합원가 계산 (1) Co-Product vs. By-Product 하나의 공정에서 여러 제품이 동시에 생산되는 걸 '결합제품(Joint Product)'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런 공통 공정의 원가를 '결합원가(Joint Cost)'라고 한다. 결합제품 중에서 다른 ckm3.tistory.com 1. 프로세스 오더 생성 우선 생산오더부터 생성한다. 이번 예시에서는 Process Manufacturing 환경으로 세팅했으니..
연산품과 부산물의 결합원가 계산 (1) Co-Product vs. By-Product 하나의 공정에서 여러 제품이 동시에 생산되는 걸 '결합제품(Joint Product)'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런 공통 공정의 원가를 '결합원가(Joint Cost)'라고 한다. 결합제품 중에서 다른 제품들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판매가치가 큰 제품을 '주산품(Main Product)'이라고 한다. 주산품에 버금가는 결합제품이 여러 개인 경우 이를 '연산품(Co-Product)'이라고 하고, 주산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가치를 갖는 제품을 '부산물(By-Product)'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통나무를 가공해서 목재를 생산하는 경우를 보자. 통나무를 가공해 최상급 목재, 표준규격 목재, 나무조각이 생산되는 경우라면, 최상급 목재와 표준규격 목재는 연산품이 되고 ..
#3. CO 전표 번호범위 세팅 배경 설명 'IMG 세팅' 카테고리에서는 개별 IMG Configuration 매뉴얼을 작성하고자 한다. 각 IMG 세팅의 목적, 연결관계, 용례, 개별 필드의 의미 등에 대해 기술한다. 나의 경험과 각종 교재, SAP HELP 문서 등을 참조해서 작성하겠지만 정답은 아닐 수 있다. 솔직히 이건 왜 있는 건지 제대로 모르는 메뉴도 많다. 참고해서 봐주시길 바라며 많은 도움이 되길 빈다. 1. 개요 SAP에 '번호범위 오브젝트(Number Range Object)'라는 게 있다. 번호범위 오브젝트란 목적에 따라 지정될 번호의 범위를 설정하는 오브젝트를 말한다. 전표를 예로 들면 생성할 때마다 1번, 2번, 3번... 이렇게 이어서 관리목적의 번호가 생긴다. 이렇게 생긴 전표번호는 전표 하나하나 마다 고유한..
배부하지 않음(Not Distributed) 추가 케이스 - WIP at Target WIP at Target일 때 "배부하지 않음"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배부하지 않음(Not Distributed)과 배부되지 않음(Not Allocated)에 대해서 지난 글에서 살펴본 바 있다. 2021.10.16 - [SAP CO/깊숙한 개념] - 배부하지 않음(Not Distributed)과 배부되지 않음(Not Allocated) - 1 2021.10.23 - [SAP CO/깊숙한 개념] - 배부하지 않음(Not Distributed)과 배부되지 않음(Not Allocated) - 2 이중 배부하지 않음에 대한 글 말미에 "WIP at Target을 쓰는 경우 PCC의 Variance가 반영될 재고가 없을 때도 발생한다"라고 언급했는데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1. WIP at Actu..
#2. SAP 조직구조 - 관리회계 영역 세팅: (2) 구성요소, 회사코드 매핑 배경 설명 'IMG 세팅' 카테고리에서는 개별 IMG Configuration 매뉴얼을 작성하고자 한다. 각 IMG 세팅의 목적, 연결관계, 용례, 개별 필드의 의미 등에 대해 기술한다. 나의 경험과 각종 교재, SAP HELP 문서 등을 참조해서 작성하겠지만 정답은 아닐 수 있다. 솔직히 이건 왜 있는 건지 제대로 모르는 메뉴도 많다. 참고해서 봐주시길 바라며 많은 도움이 되길 빈다. 1. 개요 이 글은 앞서 작성했던 『#2. SAP 조직구조 - 관리회계 영역 세팅: (1) 기본 세팅』에서 이어진다. 관리회계 영역이 무엇인지, SAP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지 등은 먼저 그 글을 읽고 오자. 2. IMG PATH PATH: 관리회계 > 일반 관리회계 > 조직 > 관리회계 영역 유지보수 > (관리회계 영..
#1. SAP 조직구조 - 관리회계 영역 세팅: (1) 기본 데이터 배경 설명 'IMG 세팅' 카테고리에서는 개별 IMG Configuration 매뉴얼을 작성하고자 한다. 각 IMG 세팅의 목적, 연결관계, 용례, 개별 필드의 의미 등에 대해 기술한다. 나의 경험과 각종 교재, SAP HELP 문서 등을 참조해서 작성하겠지만 정답은 아닐 수 있다. 솔직히 이건 왜 있는 건지 제대로 모르는 메뉴도 많다. 참고해서 봐주시길 바라며 많은 도움이 되길 빈다. 1. 개요 '관리회계 영역(Controlling Area)'은 CO의 가장 중심이 되는 조직구조이다. SAP에서 CO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구성해야 하는 조직이며 모든 CO 정보는 관리회계 영역을 기준으로 집계하고 리포팅한다. 실무 입장에서는 원가계산과 관리결산의 단위라고 보면 된다. 관리회계 영역은 회사코드(법인)보다 상..
SAP CO의 기본 구성요소 (2) 지난 글에 이어서 CO 모듈의 구성요소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이 글은 아래 포스팅에서 이어진다. 2021.12.30 - [SAP CO/기본 개념] - SAP CO의 기본 구성요소 (1) SAP CO의 기본 구성요소 (1) 이제부터 "기본 개념" 카테고리에서는 SAP CO의 기초부터 차근차근 글을 써보려고 한다. 그동안 깊숙한 개념 위주로 작성을 많이 했는데, 그런 내용들은 아무래도 이미 SAP CO에 능숙한 분이나 컨설 ckm3.tistory.com 여기서 설명하고자 하는 CO 모듈의 기본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Cost Center Accounting Internal Order Accounting Product Costing ← 지금 여기! Material Ledger Profitability ..
SAP CO의 기본 구성요소 (1) 이제부터 "기본 개념" 카테고리에서는 SAP CO의 기초부터 차근차근 글을 써보려고 한다. 그동안 깊숙한 개념 위주로 작성을 많이 했는데, 그런 내용들은 아무래도 이미 SAP CO에 능숙한 분이나 컨설턴트가 아니면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았을 것이다. 이제는 조금 더 많은 분이 이해하실 수 있도록 "기본 개념" 카테고리의 작성 빈도를 높이고자 한다. 오늘은 그 첫 번째로 SAP CO의 기본 구성요소부터 살펴보겠다. 이렇게 SAP CO의 기본 구성요소의 대략적인 모습을 보고 난 후에 각 구성요소별 세부사항을 살펴보는 식으로 이어나가려 한다. 1. SAP CO란 무엇인가? 우선 SAP가 무엇인지부터 시작해보자. SAP는 사실 회사이름이다. '에스에이피'라고 읽는 게 공식이긴 하다. SAP는 우리가 SAP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