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AP CO/깊숙한 개념

(30)
MM Account Determination - (2) 평가클래스 2023.10.01 - [SAP CO/깊숙한 개념] - MM Account Determination - (1) 개요, 조직구조 MM Account Determination - (1) 개요, 조직구조물류에서 회계 계정은 어떻게 지정되는가? 이번 글부터는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시던 "물류 트랜잭션에 따른 회계 계정 지정"에 대해서 정리해보고자 한다. SAP는 물류와 회계가 통합된 시스템이ckm3.tistory.com 지난 글에서는 MM Account Determination에 필요한 조직 구조에 대해서 살펴봤다. 다음으로는 평가클래스에 대해 살펴보자. 평가클래스란 특정 자재를 총계정원장상 재고계정으로 지정하기 위한 일종의 키이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은 값들이 있다. 평가클래스 코드평가클래스명3000원재료3..
MM Account Determination - (1) 개요, 조직구조 물류에서 회계 계정은 어떻게 지정되는가? 이번 글부터는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시던 "물류 트랜잭션에 따른 회계 계정 지정"에 대해서 정리해보고자 한다. SAP는 물류와 회계가 통합된 시스템이기 때문에 물류 트랜잭션이 발생하면 자동으로 회계전표도 함께 생성되게 되어 있다. 그런데 물류 처리 시 그와 연관된 회계계정을 따로 입력하지는 않기 때문에, 이게 어떤 식으로 지정되는지 늘 궁금증이 생긴다. 특히 현업에서 업무를 하는 분들에게는 이는 블랙박스와 같다. 처음 구축하고 십수 년이 지나도 모르는 채로 굴러가는 경우도 부지기수다. (실제로 이를 명확하게 문서화해서 갖고 있는 현업분들을 아직까지 만난 적이 없다) 하지만 SAP 컨설턴트라면 (SAP 관련 PI 컨설턴트라 해도) 반드시 알아야 하는 부분이다. 이 ..
백플러시 프로파일과 예비원가 백플러시(Back-flush)란 무엇인가? 백플러시(Back-flush)란 무엇인가? SAP "기능적으로" 대답하자면 '사전에 준비한 기준정보대로 불출 처리하는 것'이라고 대답할 수 있겠다. 하지만 본래의 의미는 조금 다르다. 대량 생산 환경에서 매우 빠른 생산리드타임으로 마구마구 제품이 생산될 때, 필요한 원재료를 하나하나 투입처리하기는 힘들다. 그러니 우선 제품의 생산 실적 처리부터 하고 투입된 원재료는 '거꾸로 계산해서 한 번에' 입력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즉 이 '거꾸로 계산해서 한 번에'가 바로 백플러시(Back-flush)의 본래 의미라고 보면 되겠다. (SAP 피플들이 흔히 말하는 식인) 사전에 준비한 기준정보대로 불출 처리한다는 것은 그저 이 백플러시의 방법 중 하나일 뿐이다. 그래서 나는..
Combined CO-PA - (5) 기술적 구조 마지막으로 cPA의 기술적 구조를 살펴보고자 한다. 기존의 Costing-based PA와 비교해서 많은 부분이 바뀌었다. 우선 Costing-based PA일 경우의 구조를 살펴보자. 1. Costing-based PA의 데이터 구조 Costing-based PA의 경우 위 그림과 같았다. CE1XXXX - 실제 개별항목 테이블 CE2XXXX - 계획 개별항목 테이블 CE3XXXX - PA 세그먼트별 계획/실제 총계 테이블(값필드만) CE4XXXX - PA 세그먼트별 특성조합 테이블 여기서 XXXX란 경영단위의 코드를 의미한다. 경영단위를 만들 때마다 각각의 테이블이 따로 생긴다고 보면 된다. 그럼 과거 ECC 시절에는 어떻게 개발했을까. 우선 CE1 테이블이나 CE2 테이블을 직접 읽는 경우는 거의 ..
Combined CO-PA - (4) 수량뷰 지난 글에 이어서 이번에는 수량뷰를 살펴보고자 한다. cPA는 헤더를 중심으로 다음 세 가지 뷰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cPA 전표 모습으로 보면 아래와 같다. 지금까지 살펴봤던 건 계정 뷰와 값필드 뷰였다. 이번 글에서는 수량 뷰를 보자. 수량 뷰란 무엇인가? 하나의 거래에 대해 발생한 수량값을 여러 단위로 달리 보기 위한 뷰이다. 예를 들어... 음... 배터리 사업을 생각해보자. 2차 전지 배터리는 여러 개의 셀(Cell)이 합쳐져 하나의 모듈(Module)을 이루게끔 구성되어 있다. 실제 판매 단위는 모듈이지만 이를 셀 단위로도 분석하고 싶다면? 또 한 가지. 설탕을 판매한다고 해보자. 설탕의 판매 단위가 1봉지라고 한다면 기본적인 매출은 봉지 단위로만 구성될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kg당 수익성..
Combined CO-PA - (3) SD 판매문서와 "L" 타입 지난 글에 이어 이번에는 SD 판매문서로부터 PA 전표는 어떻게 생성되는지 알아보자. 1. 판매문서의 어떤 시점에 PA 전표가 생기는가? SD의 판매 프로세스를 간단히 살펴보자. SD 전문가가 아닌 우리 수준에서 간단하게만 살펴보면 ① 판매오더 → ② 출하 문서 → ③ 대금청구의 3단계로 이뤄진다고 볼 수 있다. 각 단계에 따라 어떻게 PA 전표가 생기는가? 아래 그림을 보자. (1) 원가중심 PA의 경우 ① 판매 오더 시점에는 별다른 회계 전표가 생성되지 않는다. 별도 설정을 한다면 PA는 기표할 수는 있으나 그 부분은 이 글에서는 주제와 어긋나므로 나중에 알아보자. ② 출하 문서에 따른 출고 전기 시점에는 FI 전표가 생긴다. 회계적으로 살펴봐도 그 시점에 해당 재고자산에 대해 통제력이 이관된다면 매..
Combined CO-PA - (2) FI 전표와 통화 환산 기능 지난 글에 이어서 이번에는 Combined CO-PA의 기본 기능과 트랜잭션을 살펴보고자 한다. 기존 Costing-based나 Account-based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알아보자. 지금부터 Comined CO-PA는 cPA, Costing-based는 원가중심, Account-baed는 계정중심이라는 용어로 부르도록 하겠다. 1. FI 전표로부터 cPA 전표 생성 가장 기본이 되는 트랜잭션부터 살펴보자. FI 전표를 생성할 때 '수익성 세그먼트'라는 데에 값을 넣으면, PA 전표를 만들 수 있다. 이건 어떤 방식의 PA든 마찬가지다. 위 그림처럼 일반 전표를 생성하면서 '수익성 세그먼트'를 클릭하면 PA의 특성치(Chracteristic Value)를 입력할 수 있는 팝업이 뜬다. 여기에 값을 입력하..
Combined CO-PA - (1) 소개 PA의 Best Solution은 무엇일까? 옛날 ECC 때라면 두말 할 것도 없이 Costing-based PA였다. Account-based PA라는 건 아예 공부할 필요도 없는 것이었다. 그런데 S/4HANA 시대로 오면서 SAP에서는 Account-based를 밀기 시작했다. 이제는 아예 "Margin Analysis"라는 새로운 이름까지 붙여가면서 말이다. 그럼 이 글의 제목인 Combined는 또 무엇인가? 정말 Account-based가 Best인가? 앞으로는 이걸로만 업데이트를 한다는데 그럼 Costing-based는 버려야 하나? 아니 애초에 PA라는 게 무엇인가? 이 모든 게 다 무슨 얘긴가??? 이번 글에서는 간단하게 PA의 종류에 대해서 비교해보고 Combined PA는 어떤 점이 ..
표준원가계산 시 구매정보레코드의 가격 선택 규칙 표준원가 계산 시 구매정보레코드로 자재가격을 결정할 경우 어떤 방식으로 가격을 선택해올까? 표준원가 계산 시 가격 선택 방법은 기본적으로 "평가변형"이라는 데에서 지정한다. 위 그림에서 전략 2번으로 설정된 게 바로 구매정보레코드다. 전략 1번이 User exit이므로 만약 여기서 값을 찾지 못하면 2번인 구매정보레코드를 읽는다. 이 전략 순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지정할 수 있다. 하단에 보면 구매정보레코드 내에서도 어떤 가격을 우선적으로 가져올지 설정할 수 있다. 그런데 MM의 구매정보레코드에는 자재 하나에 대해서 단일한 값만 있는 게 아니다. 하나의 자재/플랜트에 대해서도 여러 공급업체에 따라 다르게 생성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런 여러 구매정보레코드 중에서 SAP CO의 표준원가 계산은 어떤 값..
자재원장의 프로세스 카테고리 변경 BADI 많은 분들이 아실 만한 BADI인데 간단하게 정리하고 가려고 한다. 자재원장은 기본적으로 "카테고리"라는 대분류와 "프로세스 카테고리"라는 중분류가 있다. 그 아래에는 "조달대체"라는 소분류가 있고 그 아래에 다시 개별 항목이 있는 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무슨 말이냐면 위 그림처럼 기초재고, 입고, 누적재고, 소비, 기말재고 같은 항목들이 바로 대분류인 "카테고리"다. 위 화면에서는 안 보이지만 "기타입고/소비"나 "재평가"도 대분류에 포함된다. 카테고리는 도메인 'CKML_CATEG'에서 값들을 확인할 수 있다. 카테고리 하위는 "프로세스 카테고리"라는 게 있다. 프로세스 카테고리는 입고와 소비 부분의 항목 범주를 보다 상세하기 구분하기 위해서 만든 것이다. 같은 입고라고 해도 이게 구매입고인지 생산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