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AP CO/깊숙한 개념

(33)
Primary Cost Component Split 이 글은 지난 번 『워크센터의 액티비티는 왜 고작 6개뿐인가?』에서 이어진다. 2021.09.24 - [SAP CO/깊숙한 개념] - 워크센터의 액티비티는 왜 고작 6개뿐인가? 워크센터의 액티비티는 왜 고작 6개뿐인가? "더 늘릴 수는 없나요?" 현업으로부터 종종 듣는 이야기다. "그냥 원래 SAP가 그렇게 생겨먹었습니다."라고 말면 편하긴 한데 답변이 넘 궁핍하지 않은가? 그러게... 왜 6개밖에 못 만들까. CO 입장 ckm3.tistory.com Primary Cost Component Split의 기본 개념, Configuration, 테스트를 하나씩 살펴보자. 1. 기본 개념 Primary Cost Component Split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Cost Component Split가 무엇..
가격단위 vs. 원가계산 로트크기 SAP 자재 마스터를 살펴보면 가격단위(Price Unit)란 필드와 원가계산 로트크기(Costing Lot Size)란 필드가 있다. 이 필드의 정확한 의미를 아는가? 이게 의외로 헷갈리는 개념인데 모르고 잘못 세팅하면 원가 왜곡을 일으키기도 한다. 위 그림을 보면 자재 마스터에서 가격 단위란 필드와 원가계산 로트크기라는 필드를 각각 확인할 수 있다. 일단 답부터 말해보자면 이렇다. 가격 단위라는 명칭이 혹시나 판매가격과 관련 있을 것이라 오해할 수도 있는데, 그렇지는 않다. 자재 단가에 대한 단위라고 보면 된다. 원가계산 로트크기는 원가계산 시 사용하는 단위가 맞긴 한데, 그중에서도 원가 추정(Cost estimate) 시 사용하는 단위다. 실제 원가계산의 단위는 아니다. 일반적으로 원가계산 로트크기..
워크센터의 액티비티는 왜 고작 6개뿐인가? "더 늘릴 수는 없나요?" 현업으로부터 종종 듣는 이야기다. "그냥 원래 SAP가 그렇게 생겨먹었습니다."라고 말면 편하긴 한데 답변이 넘 궁핍하지 않은가? 그러게... 왜 6개밖에 못 만들까. CO 입장에서 가공비 분석을 더 디테일하게 하려면 6개로는 부족하니 얼마든지 더 만들 수 있어야 할 텐데 말이다. 이게 다 무슨 얘기냐고? 이 정도 그림이면 설명이 되려나? 상단에 보면 10번부터 30번까지의 작업(Operation) 번호가 있고, 20번 작업인 "조립" 작업에 "Confirmation"이라고 체크되어 있다. 20번 작업에서 생산확정(Confirmation) 처리를 했을 때의 그림이다. 20번 작업은 워크센터 B에서 수행하는데, 워크센터 B를 따라가보면 표준값 키(Standard Value K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