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AP CO/기본 개념

(14)
PCA와 사업부 간 Transfer Pricing - IMG Setting 지난 글 『PCA와 사업부 간 Transfer Pricing』 에 이어서 이번에는 PCA의 TP 관련 세팅을 해보고자 한다. 이 세팅에는 전제조건이 있다. 지난 글인 『CO 관련 원장, 통화, 평가뷰 - (3) 평가뷰』에서 PCA뷰에 대한 세팅을 미리 하고 와야 한다. 이 글에서 소개하는 세팅은 그 이후의 것이다.  TP 관련 계정 설정(0KEK) → 내부 자재이동에 대한 특별처리 정의(0KEN) → 가격결정에 대한 기본 세팅(8KEZ) → 표준원가 계산 시 TP 사용 세팅(OKYD, OKKI, OKKN, OKTZ) → SD 컨디션과 값필드 매핑(KE4I) → G/L계정과 값필드 매핑(KEAD01) → 그 외 세팅(GSP_KD, 3KEL)   지금부터 하나씩 알아보자.   1. TP 관련 계정 설정(0K..
PCA와 사업부 간 Transfer Pricing Transfer Price라고 들어보신 적이 있나요? 1. 사내 구분회계/책임회계 제도란? 사업부 내 Transfer Price에 대해 알려면 우선 사내 구분회계/책임회계 제도라는 것부터 이해해야 한다. 우선 사업부제란 무엇인가? 하나의 회사 내의 여러 사업부를 마치 개별 회사로 보고, 각각의 권한과 책임을 부여하여 그 성과를 평가하는 제도를 말한다. 회사 안의 회사(Company In Company)라고 볼 수 있다. 사업부는 보통 제품군이나 지역, 수행 기능 등으로 구분한다. 예를 들어 제품군으로 구분한다면 전자제품 제조기업에서는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가전 등 제품군에 따라 사업부를 나눌 수도 있다. 수행 기능으로 구분한다면 자동차 부품 기업에서 부품생산 부문과 AS 부문을 별도의 사업부로 운영할 ..
SAP에서 "가격차이" 계정이란 무엇일까? Price Difference? 재고와 관련된 가격차이 계정에 대해서 간단히만 알아보자. "가격차이"라고도 하는 이 계정엔 몇 가지 속성이 있다. 세 가지만 살펴보자. 1. 가격차이 계정은 '수익/비용' 계정이다. 그렇다. PL 계정이다. 자산/부채(BS) 계정이 아니다. 즉 이 계정이 금액이 들어갔다는 것은 회사의 재무상태표 상 수익/비용 부분에 금액이 가감되었다고 보면 된다. 여기서 말하는 가격차이 계정은 '재고와 관련된' 가격차이 계정이다. 재고 계정은 본래 BS 계정이다. 가격차이 계정은 BS 계정인 재고에는 바로 포함할 수 없어서 비용화된 계정이라고 봐도 된다. 또는 그 재고 계정이 소비되어서 비용화된 부분의 일부라고 볼 수도 있다. 2. 가격차이 계정은 '임시(Temporary) 계정'이다. ..
CO 관련 원장, 통화, 평가뷰 - (3) 평가뷰 통화유형과 원장에 대해서 살펴봤다. 이어서 평가뷰도 이들과 뗄래야 뗄 수 없는 항목이어서 함께 이야기하고자 한다. 평가뷰는 재고를 여러 방식으로 평가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이 글은 아래 글에서 이어진다. 1편부터 읽고 오시길 추천 드린다. 2022.02.17 - [SAP CO/기본 개념] - CO 관련 원장, 통화, 평가뷰 - (2) 원장 CO 관련 원장, 통화, 평가뷰 - (2) 원장 지난 글에서 원장, 통화, 평가뷰에 대한 개요를 봤고 통화유형에 대해서 더 깊게 살펴봤다. 이제는 이 통화유형이 담길 원장을 어떻게 구성하는지 살펴볼 차례다. 이전 글을 안 읽고 오신 분은 ckm3.tistory.com 평가뷰는 과거에 자재원장(M/L, Material Ledger) 내에서 세팅하고 관리회계 영역으로 연..
CO 관련 원장, 통화, 평가뷰 - (2) 원장 지난 글에서 원장, 통화, 평가뷰에 대한 개요를 봤고 통화유형에 대해서 더 깊게 살펴봤다. 이제는 이 통화유형이 담길 원장을 어떻게 구성하는지 살펴볼 차례다. 이전 글을 안 읽고 오신 분은 먼저 아래를 클릭해서 읽고 와주시길. 2022.02.10 - [SAP CO/기본 개념] - CO 관련 원장, 통화, 평가뷰 - (1) 통화유형 CO 관련 원장, 통화, 평가뷰 - (1) 통화유형 SAP CO의 기본 구성요소와 가장 중심 조직구조인 관리회계 영역(Controlling Area)에 대해서 살펴봤다. 그리고 CO 전표의 번호범위까지 살펴봤다. ECC였다면 다음으로 봐야 할 건 CO 버전이었을 텐데, 그 ckm3.tistory.com 1. 원장 세팅 우선 '원장' 이란 게 실제 시스템에서는 어떤 식으로 기능하..
CO 관련 원장, 통화, 평가뷰 - (1) 통화유형 SAP CO의 기본 구성요소와 가장 중심 조직구조인 관리회계 영역(Controlling Area)에 대해서 살펴봤다. 그리고 CO 전표의 번호범위까지 살펴봤다. ECC였다면 다음으로 봐야 할 건 CO 버전이었을 텐데, 그전에 FI와도 연계된 '원장'과 '통화', '평가뷰'에 대한 세팅을 먼저 공부하는 게 S/4HANA 시대의 맥락상 맞을 것 같다. 이 글은 아래 글들에서 이어진다. 2021.12.30 - [SAP CO/기본 개념] - SAP CO의 기본 구성요소 (1) 2022.01.02 - [SAP CO/기본 개념] - SAP CO의 기본 구성요소 (2) 2022.01.09 - [CO IMG 세팅] - #1. SAP 조직구조 - 관리회계 영역 세팅: (1) 기본 데이터 2022.01.13 - [CO I..
SAP CO의 기본 구성요소 (2) 지난 글에 이어서 CO 모듈의 구성요소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이 글은 아래 포스팅에서 이어진다. 2021.12.30 - [SAP CO/기본 개념] - SAP CO의 기본 구성요소 (1) SAP CO의 기본 구성요소 (1) 이제부터 "기본 개념" 카테고리에서는 SAP CO의 기초부터 차근차근 글을 써보려고 한다. 그동안 깊숙한 개념 위주로 작성을 많이 했는데, 그런 내용들은 아무래도 이미 SAP CO에 능숙한 분이나 컨설 ckm3.tistory.com 여기서 설명하고자 하는 CO 모듈의 기본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Cost Center Accounting Internal Order Accounting Product Costing ← 지금 여기! Material Ledger Profitability ..
SAP CO의 기본 구성요소 (1) 이제부터 "기본 개념" 카테고리에서는 SAP CO의 기초부터 차근차근 글을 써보려고 한다. 그동안 깊숙한 개념 위주로 작성을 많이 했는데, 그런 내용들은 아무래도 이미 SAP CO에 능숙한 분이나 컨설턴트가 아니면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았을 것이다. 이제는 조금 더 많은 분이 이해하실 수 있도록 "기본 개념" 카테고리의 작성 빈도를 높이고자 한다. 오늘은 그 첫 번째로 SAP CO의 기본 구성요소부터 살펴보겠다. 이렇게 SAP CO의 기본 구성요소의 대략적인 모습을 보고 난 후에 각 구성요소별 세부사항을 살펴보는 식으로 이어나가려 한다. 1. SAP CO란 무엇인가? 우선 SAP가 무엇인지부터 시작해보자. SAP는 사실 회사이름이다. '에스에이피'라고 읽는 게 공식이긴 하다. SAP는 우리가 SAP를..
SAP CO의 SKF(Statistical Key Figure, 통계주요지표) 통계주요지표는 배부의 기준으로 사용하는 게 대부분이다. 대부분 그렇다는 건 아닌 경우도 있단 얘기다. 통계주요지표는 대부분 배부의 기준으로 사용하지만, 그렇다고 모든 배부의 기준이 통계주요지표인 건 아니다. (액티비티, 계정금액, 비율 등을 더 사용할 수 있다) 그렇다면 통계주요지표(Statistical Key Figure)란 무엇인가? 통계주요지표란 회계계정과는 달리 화폐측정치는 아니지만 "수치로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말한다. 비(非)화폐측정치란 뜻에서 '통계(Statistical)'란 표현을 썼다. SAP에서 자주 사용하는 예시로는 인원수 건물 면적 PC 대수 제품그룹의 시장점유율 휴가일수 영업부서의 판매오더 건수 이런 게 있다. 통계주요지표는 대부분의 회사에서 배부의 기준"으로만" 사용하는데 그..
Direct vs. Indirect Activity Allocation (2) Indirect Activity Allocation은 센더나 리시버의 액티비티 정보가 불명확할 때 사용한다. Direct Activity Allocation은 액티비티를 수행하는 곳(=센더)과 수행하는 목적물(=리시버)이 명확할 때 사용했다. Indirect는 이와 달리 둘이 불명확할 때 사용한다. 둘 다 불명확할 경우에는 범주 2번을, 그나마 센더라도 알고 있을 때는 범주 3번을 사용한다. 1. Indirect Activity Allocation - 범주 3 범주 3번일 때는 센더의 액티비티 총량은 알고 있으나 리시버의 총량을 알지 못할 때 사용한다. 예를 들어 특정 공장에 사용한 전기료 총 사용량은 알고 있으나 개별 코스트센터의 전기료 사용량을 나누진 못할 때 쓴다. 이런 경우 센더 코스트센터를 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