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AP CO/기본 개념

CO 관련 원장, 통화, 평가뷰 - (2) 원장

 

지난 글에서 원장, 통화, 평가뷰에 대한 개요를 봤고 통화유형에 대해서 더 깊게 살펴봤다. 이제는 이 통화유형이 담길 원장을 어떻게 구성하는지 살펴볼 차례다.

 

이전 글을 안 읽고 오신 분은 먼저 아래를 클릭해서 읽고 와주시길.

 

2022.02.10 - [SAP CO/기본 개념] - CO 관련 원장, 통화, 평가뷰 - (1) 통화유형

 

CO 관련 원장, 통화, 평가뷰 - (1) 통화유형

SAP CO의 기본 구성요소와 가장 중심 조직구조인 관리회계 영역(Controlling Area)에 대해서 살펴봤다. 그리고 CO 전표의 번호범위까지 살펴봤다. ECC였다면 다음으로 봐야 할 건 CO 버전이었을 텐데, 그

ckm3.tistory.com

 

 

 


 

1. 원장 세팅

 

우선 '원장' 이란 게 실제 시스템에서는 어떤 식으로 기능하는지부터 살펴보자.

 

 

T-CODE: FB03(전표 조회) "데이터 입력 뷰"

 

T-CODE: FB03으로 전표를 조회해보면 초기 화면은 "데이터 입력 뷰"로 표시된다. 데이터 입력 뷰에서는 그 이름처럼 데이터가 입력된 그대로의 모습을 보여준다. 여기서는 이 내용이 어떤 원장에 전기된 값인지는 표시되지 않는다. 상단의 '총계정원장 뷰'를 클릭해서 이동해보자.

 

 

T-CODE: FB03(전표 조회) "총계정원장 뷰"

 

총계정원장 뷰에서 '기타 원장' 버튼을 누르면 여러 원장을 골라서 조회해볼 수 있다. 위 그림은 주요 원장인 '0L'을 선택해서 조회한 화면이다. 상단 버튼을 통해 0L, E1, E2 원장을 고를 수 있다.

 

(참고로 '데이터 입력 뷰'에서 계정은 매입채무나 외상매출금이라면 그 거래처 코드로 표시된다. 고정자산이라면 고정자산코드로 표시된다. 반면 '총계정원장 뷰'에서는 G/L 계정코드로 바뀌어 표시된다는 점을 알아두자)

 

 

TABLE: ACDOCA(통합원장 테이블)

 

통합원장(Universal Journal) 테이블인 ACDOCA에서 보면 '원장' 필드인 'RLDNR'이 KEY 필드로 지정되어 있다. 즉 같은 테이블이더라도 KEY 필드인 원장에 따라 값을 구별할 수 있단 의미다.

 

 

그럼 이런 원장을 어떻게 추가하고 관리할 수 있을까? T-CODE: FINSC_LEDGER로 간다. 

 

 

T-CODE: FISC_LEDGER(통합 분개 원장 유지보수) 원장 세팅

 

위 그림이 바로 원장을 세팅하는 화면이다. 이 화면은 S/4HANA에서 처음 생긴 IMG 세팅 화면이다. 버전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고 있으며 지금 캡쳐는 2020 버전이다.

 

위 그림 예시를 보면 0L, E1, E2 원장이 있다. 여기서 E1과 E2는 내가 따로 만든 원장이고, '0L'은 과거 버전부터 SAP에서 기본으로 구성하고 있는 주요원장의 코드이다. 대부분의 회사에서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어 CBO 개발 시 하드 코딩해도 별 문제없을 정도이다.

 

우선 중요하게 살펴야 할 부분이 '주요' 체크박스와 '원장 유형'이다. 이 둘의 조합에 따라 원장은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주요 원장(Leading Ledger)
  • 비주요 원장(Non-Leading Ledger)
  • 확장 원장(Extension Ledger)

 

주요 원장과 비주요 원장의 원장 유형은 둘 다 '표준 원장(Standard Ledger)'이다. 원장 유형을 '표준 원장'을 선택한 상태에서 '주요'에 체크하면 주요 원장, 체크하지 않으면 비주요 원장이 된다.

 

주요 원장은 어차피 전체 시스템에서 1개만 지정할 수 있다. 그러니 코드는 얌전히 0L에 양보하자. 주요 원장은 가장 기본이 되는 원장이다. 모든 회사코드는 주요 원장과 연결되어야 한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고서는 모든 회계 거래는 기본적으로 이 주요 원장에 기표된다.

 

그렇다면 비주요 원장이란 무엇인가? 기본 컨셉은 주요 원장과는 다른 회계기준이나 세법기준 등을 적용한 원장이라는 것이다.

 

New G/L에 오면서 원장에는 '회계원칙(Accounting Principle)'이란 값을 매핑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많은 유럽국가의 회계기준은 IFRS인 반면, 미국의 회계기준은 US GAAP이다. 미국의 본사를 둔 기업은 주요 원장은 US GAAP으로, 비주요 원장은 IFRS로 세팅한다고 한다. 또는 특정 국가의 현지 회계기준이나 세법 등을 위해 별도의 비주요 원장을 두기도 한다고 한다.

 

실제로 이런 회계기준을 SAP에서 회계원칙이란 코드값으로 관리하게 되었다. 이 회계원칙 코드에 따라 감가상각이나 병렬제조원가 계산 등을 달리 할 수 있다. 회계원칙이라는 무거운 이름에 쫄 필요는 없다. 그냥 구분 코드값이라고 생각하고 회계원칙에 따른 원장을 자유롭게 구성하면 되며 스탠다드로는 감가상각, 외화평가, 병렬 제조원가 정도의 기능만 제공한다고 봐주면 된다.

 

비주요 원장과 주요 원장이 독립적으로 구분된 원장이라면, 확장 원장은 특정 표준 원장에서 값을 확장해서 보기 위한 것이다. 이 관계를 그림으로 표현해보자면 이렇다.

 

 

기본 컨셉이 이렇다는 것일 뿐, 확장원장이 꼭 관리회계만을 위한 것은 아니다. 재무회계를 위해서도 쓸 수는 있다.

 

기본적으로는 주요 원장과 비주요 원장은 재무회계 목적으로 원장마다 회계기준을 달리 적용하기 위해서 만든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확장 원장은 관리회계 목적으로 월중 예측회계나 관리회계 리포팅을 위해서 사용한다. 그렇지만 재무회계 목적으로 아예 쓸 수 없는 건 아니다. 일부 세무 조정이나 시뮬레이션 목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자산회계와는 완전히 통합이 되지 않는 등 제약 사항이 있으므로 FI 선생님들이 잘 선호하시진 않는 것 같다.

 

주요 원장과 비주요 원장은 물리적으로 따로 관리된다. 반면 확장 원장은 주요 원장이나 비주요 원장을 기초로 하여 합산해 보는 방식이다. 주요 원장이나 비주요 원장을 조회하면 각각 입력한 원장으로만 조회되지만, 확장 원장을 조회하면 그와 연결된 원장의 값이 함께 조회된다. 따라서 확장 원장에서는 연결된 기초 원장과 차이나는 부분만 입력하면 된다.

 

이어서 주요 원장에 대한 회사코드별 세팅을 보자.

 

 

T-CODE: FISC_LEDGER(통합 분개 원장 유지보수) 주요원장의 회사코드 설정

 

주요원장은 모든 회사코드에 연결되어야 한다. '원장의 회사코드 설정' 화면에서 관련 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위 그림은 지난 글에서도 봤던 것인데 바로 여기에 원장에서 보고 싶은 통화유형을 지정했었다. 이번 글에서는 그 위에 입력하는 회계연도변형, 전기기간변형, 회계원칙, 병렬회계에 대해서 간략히 언급하겠다.

 

회계연도변형은 해당 원장에서 사용할 기간을 정의한 것이고, 전기기간변형은 특정 기간의 회계전표 입력을 통제하기 위한 것이다. 주요원장의 회계연도변형과 전기기간변형은 회사코드 전역 설정(T-CODE: OBY6)에서 설정한 것과 동일한 값이어야 한다. 

 

회계원칙은 ① 원장별, ② 원장/회사코드와 1:1, ③ 원장/회사코드와 1:N의 세 가지 방식으로 지정할 수 있다. 위 화면에서 입력하면 원장/회사코드와 1:1인 셈이 된다. 만약 1:N으로 하고 싶다면, '추가 G/L 계정을 사용하는 병렬 회계'에 체크하고, 아래 그림처럼 '원장 및 회사코드의 회계 원칙'을 클릭해서 입력하면 된다.

 

 

T-CODE: FISC_LEDGER(통합 분개 원장 유지보수) 원장 및 회사코드의 회계원칙

 

 

이렇게 설정한 경우는 원장별로 회계원칙을 두는 게 아니라 하나의 원장에서 여러 회계원칙을 두고 G/L 계정으로 구분하여 리포트를 발행한다. 이 방식을 Account Approach라고 한다. 반면 원장별로 회계원칙을 두는 방식은 Ledger Approach라고 한다.

 

 

 


 

2. 비주요 원장(Non-Leading Ledger)

 

T-CODE: FISC_LEDGER(통합 분개 원장 유지보수) 비주요 원장 생성 방법

 

비주요 원장을 하나 새로 만들어보자. 위 그림처럼 원장 코드는 영문자로 시작하는 2자리로, '주요'는 체크 해제, '원장 유형'과 '확장 원장 유형'은 각각 "표준 원장"과 "표준 분개"로 선택한다. '기초원장'은 공란으로 둔다.

 

'원장 회계원칙'에 원하는 회계기준 코드를 넣을 수 있는데 이 세팅은 여기에 넣으면 원장 전체에 대해서 적용되고, 특정 회사코드 세팅에 넣으면 그 회사코드에 대해서만 적용된다. 우리 예시에서는 특정 회사코드에서만 적용하기 위해 비워놨다.

 

이렇게 원장을 생성하고 나면 '원장 그룹'이란 게 자동으로 생성된다.

 

 

IMG: 재무회계 > 재무회계 전역 설정 > 원장 > 원장 > 원장 그룹 정의

 

위 그림처럼 자동으로 생성된 원장그룹은 원장과 동일한 코드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원장그룹이 곧 원장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그렇지만 원한다면 별도의 원장그룹 코드를 만들어서 그 안에 여러 개의 원장을 매핑하는 것도 가능하다.

 

T-CODE: FB01에서 전표를 입력하면 해당 회사코드와 연결된 모든 표준 원장에 값이 입력된다. 만약 특별히 원하는 원장에만 따로 전표를 입력하려면 T-CODE: FB01 대신 T-CODE: FB01L로 처리하면 된다. 어떤 차이가 있는지 예시로 확인해보자.

 

 

T-CODE: FB01(전표 전기), TABLE: ACDOCA(통합원장)

 

T-CODE: FB01을 통한 전표는 별도의 원장 지정이 없으므로, 전표 생성 시 해당 회사코드의 모든 표준 원장(=주요 원장과 비주요 원장)에 값이 기록된다. T-CODE: FB01L을 통해 특정 원장에만 별도 전표를 처리해보자.

 

 

T-CODE: FB01L(원장그룹에 대한 일반 전기)

 

T-CODE: FB01L에 들어가면 위 그림처럼 '원장그룹'이란 코드가 생긴다. 여기에 값을 넣고 전표 처리하면 된다.

 

 

T-CODE: FB01(전표 전기), TABLE: ACDOCA(통합원장)

 

이렇게 하면 지정한 원장그룹(과 연결된 원장)에만 기표된다. 그리고 T-CODE: FAGLB03 같은 화면에서 각 원장을 조회해보면

 

 

T-CODE: FAGLB03(G/L 계정 잔액 조회) 원장 0L과 L2로 각각 조회했을 경우

 

테이블 내의 KEY 값에 따라 각각의 원장이 따로 조회된다.

 

 

T-CODE: FISC_LEDGER(통합 분개 원장 유지보수) 수동 전기 허용 안 됨

 

원장 세팅 시 '수동 전기 허용 안 됨'에 체크하면 T-CODE: FB01L 등으로 수기 입력 전표를 허용하지 않게 된다. 해당 원장에 대한 전표는 타 프로그램을 통한 자동 전표만 허용하여, 사용자가 마음대로 바꾸지 못하게 하기 위한 용도라고 보면 되겠다.

 

 

이어서 원장의 회사코드 설정을 보자.

 

 

T-CODE: FISC_LEDGER(통합 분개 원장 유지보수) 원장의 회사코드 설정

 

비주요 원장의 회사코드별 세팅에서는 우선 해당 원장에 기록할 통화유형을 세팅한다. 이 부분은 지난 글에서 봤던 대로다. 사전에 정의한 통화유형 중에서 이 원장에 기록하고 싶은 통화유형을 지정하면 된다. 여기서 통화유형은 원한다면 주요 원장과 다르게 세팅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외 회사코드 설정에 필요한 회계연도변형과 전기기간변형을 입력한다. 회계연도변형과 전기기간변형도 주요 원장과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3. 확장 원장(Extenstion Ledger)

확장 원장은 반드시 '기초 원장(Underlying Ledger)'을 입력해줘야 한다. 확장 원장은 자기 혼자만 존재할 수 없고 그 기반이 되는 기초 원장과 합산하여 리포팅된다.

 

 

T-CODE: FISC_LEDGER(통합 분개 원장 유지보수) 원장 세팅

 

우리 예시에서 확장 원장 E1과 E2는 모두 기초 원장으로 '0L'을 지정하고 있다. 만약 E2으로 조회하면 0L와 E2가 합산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주요 원장 0L에는 견본비를 2백만 원, 확장 원장 E2에 8백만원 입력했다고 해보자. 그럼 테이블 ACDOCA에는 아래와 같이 표시된다.

 

TABLE: ACDOCA(통합원장)

 

테이블에서는 보다시피 원장 0L에 2백만원, E2에 8백만 원이 입력되어 있다. 이를 리포트에서 조회해보면 어떨까?

 

 

T-CODE: FAGLB03(G/L 계정 잔액 조회) 원장 0L과 E2로 각각 조회했을 경우

 

위 그림처럼 표시된다. 주요 원장인 0L에는 주요 원장에 입력한 값만 조회되지만, 확장 원장 E2는 주요 원장의 값과 자기 원장의 값을 합산하여 표시된다. 이처럼 같은 계정, 같은 기간이라도 확장 원장을 조회했을 때와 주요 원장을 조회했을 때의 값이 다르다.

 

 

T-CODE: FAGLL03H(G/L 계정 개별 항목 조회)

 

G/L 계정 개별 항목 브라우저에서도 확장 원장으로 조회해보면 이렇게 두 가지 값이 한꺼번에 조회되는 걸 볼 수 있다.

 

 

T-CODE: FISC_LEDGER(통합 분개 원장 유지보수) 원장 세팅

 

이어서 확장 원장의 '유형'에 대해서 살펴보자. 확장 원장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유형이 있다.

 

 

1. ' ': 표준 분개

2. 'P': 기술 번호가 있는 개별 항목, 삭제 불가능(과거에 예측 원장이란 이름이었음)

3. 'S': 기술 번호가 있는 개별 항목, 삭제 가능(과거에 시뮬레이션 원장이란 이름이었음)

 

 

『SAP HELP 문서』에 따르면 '표준 분개'는 일반적인 확장 원장의 용도로 전표 입력이 가능하고 역분개가 가능한 방식이라고 한다.

 

'P'도 이와 같으나 전표 입력 시 정규 전표번호가 아닌 기술적 번호로 채번이 된다고 하는데, 내가 테스트해본 바에 따르면 둘다 전표번호가 생기는 방식이었다. 여기서 말하는 기술적 번호가 정확이 무엇인지 아직 잘 모르겠다. 'P'의 용도는 구매오더에 대한 약정(Commitment) 전표 처리나, 판매오더에 대한 사전 매출인식을 위한 예측 회계(Predictive Accounting)이라고 한다.

 

'S'는 시뮬레이션 용도로 외화평가 시 지정하여 실제 원장에 기표하기 전 결과를 사전에 검증해보기 위한 연습장이라고 보면 된다. 'S'로도 'P'처럼 기술적 번호로 채번이 되며 'P'와 다른 점은 역분개가 아니라 직접 삭제가 가능하단 점이다. 이 부분은 아직 직접 테스트는 못해봤다. 나중에 심화 부분에서 쓸 생각이다.

 

 

T-CODE: FISC_LEDGER(통합 분개 원장 유지보수) 원장의 회사코드 설정

 

확장 원장의 회사코드별 설정을 보면 기초 원장의 통화 세팅을 그대로 가져온다. 확장 원장은 기본적인 컨셉 자체가 기초 원장과 값을 합산해서 보기 위한 것이므로 이게 서로 다를 수가 없는 거라고 보면 된다. 대신 '전기기간변형'은 다르게 설정할 수 있어서, 기초 원장이 마감되어도 확장 원장에는 값을 전기할 수 있는 방식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한 가지 더. 확장 원장이 비주요 원장을 대체할 수 있을까? 현재로서는 자산회계(Asset Accouning)에 적용이 안 되어서 완전 대체는 어렵다고 한다. (출처: https://blogs.sap.com/2020/04/02/sap-s-4hana-extension-ledger-use-cases/) 언젠가 바뀔지도 모르겠지만 말이다. 대신 확장 원장도 회계원칙 코드를 지정하는 건 가능하다. 그러니 제한적이나마 활용할 방법은 있겠다.

 

확장 원장을 감가상각영역이 지정하려면 발생하는 오류

 

 

 


 

4. 관리회계 버전과 원장 연결

마지막으로 S/4HANA에서는 FI와 CO의 원장이 하나로 합쳐지다 보니 필요한 세팅이 하나 더 있다. 관리회계 버전에 원장을 연결하는 작업이다.

 

CO에는 버전이란 게 있는데 버전은 ① 계획을 여러 개로 나누어 수립하기 위한 용도와, ② 실적을 여러 평가뷰에 따라 달리 보기 위한 용도, 이렇게 두 가지가 있다. 이 중 실적에 대한 부분만 FI와 맞춰주면 된다.

 

 

IMG: 재무회계 > 재무회계 전역 설정 > 원장 > 관리회계와 재무회계의 통합 > CO 버전의 원장 정의

 

위 그림에서 보면 버전 0과 원장 0L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0은 반드시 주요 원장과 연결되어야 한다. 이 IMG의 문서를 읽어보면 알겠지만 이건 필수사항이다. 또한, 여기서는 확장 원장을 연결할 수 없다. 주요나 비주요 원장만 연결 가능하다.

 

CO에서 트랜잭션이나 리포트는 버전을 기준으로 하는 게 많다. 이 세팅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없으므로 꼭 해줘야 한다.

 

위 그림을 보면 버전의 평가뷰라는 게 있고, 법적 평가, 그룹 평가, 손익센터 평가의 세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버전이 다르며 원장은 0L 하나로만 연결되어 있다. 이게 뭘까?

 

이제 평가뷰에 대한 이야기를 할 차례가 됐다. 통화유형과 원장에 대한 기반 지식을 갖고서 다음 글로 넘어가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