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 IMG 세팅

#6. CO 버전의 원장 정의

배경 설명

'IMG 세팅' 카테고리에서는 개별 IMG Configuration 매뉴얼을 작성하고자 한다. 각 IMG 세팅의 목적, 연결관계, 용례, 개별 필드의 의미 등에 대해 기술한다. 나의 경험과 각종 교재, SAP HELP 문서 등을 참조해서 작성하겠지만 정답은 아닐 수 있다. 솔직히 이건 왜 있는 건지 제대로 모르는 메뉴도 많다. 참고해서 봐주시길 바라며 많은 도움이 되길 빈다.


 

1. 개요

 

S/4HANA부터는 FI 원장과 CO 원장이 통합됐다. 그걸 유니버설 저널이라고 하는데, 테이블로는 ACDOCA이다. 과거에는 각기 다른 테이블로 사용하던 것들이 하나의 테이블로 통합되면서 각각의 Key를 맞춰줄 필요가 생겼다. 그래서 생긴 IMG가 "CO 버전의 원장 정의"이다. 과거 ECC 버전에는 없던 항목이다.

 

FI 원장과 CO 원장의 Key가 뭘까? CO는 이전까지 우리가 계속 살펴봤던 "버전"이다. 그럼 FI는? 바로 "원장" 코드다. 이에 대해서는 지난 글인 『CO 관련 원장, 통화, 평가뷰 - (2) 원장』에 자세히 작성했으니 그쪽을 참고해주시기 바란다.

 

아무튼 각각의 Key가 버전과 원장이니 이를 연결해주는 IMG가 바로 "CO 버전의 원장 정의"라고 보면 되겠다.

 

 


 

2. IMG PATH

 

 

  • PATH: 관리회계 > 일반 관리회계 > 조직 > CO 버전의 원장 정의

 

CO 버전의 원장 정의

 

 

 


 

3. 화면 설명

 

 

관리회계 > 일반 관리회계 > 조직 > CO 버전의 원장 정의

 

화면은 위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관리회계 영역/버전을 중심으로 'FI의 어떤 원장코드 값을 읽어들이는가'를 설정하는 것이다.

 

이 때 몇 가지 주의사항이 있다.

 

1. 우선 관리회계 영역과 관련한 회사코드는 모두 같은 '회계연도변형'이어야 한다. 회계연도변형이란 FI에서 회계기간을 설정하기 위한 코드를 의미한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지만 'FI와 CO의 기간 단위가 같아야 한다'는 의미로 이해해주면 된다.

 

2. CO 버전 '000'은 반드시 FI의 주요 원장(일반적으로 '0L')과 연결되어야 한다.

 

3. 확장 원장은 버전과 연결할 수 없다. '확장 원장(Extension Ledger)'에 대해서도 지난 글에 설명되어 있으니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확장 원장의 값은 그냥 버전 '000'에 같이 들어온다고 보면 된다.

 

4. 실제 버전으로 사용하는 버전은 모두 연결해야 한다.

 

이 때 실제 버전으로 사용하는 버전에는 기본 버전인 '000' 말고는 뭐가 있을까? 지난 글인 『CO 관련 원장, 통화, 평가뷰 - (3) 평가뷰』을 보셨다면 알겠지만 CO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평가뷰는 법적평가 외에 손익센터 평가, 그룹 평가까지 총 3개가 있을 수 있다. (여기에 Parallel COGM까지 활성화하면 3개가 더 늘어나 총 6개가 된다. 단, 이를 위해 추가된 비주요원장은 여기서 연결하지 않는다)

 

손익센터 평가나 그룹 평가까지 활성화해서 사용하는 경우라면 각각의 버전을 원장과 연결한다. 이때 '단일평가원장' 방식인지 '다중평가원장' 방식인지에 따라 달라지는데, '단일평가원장' 방식이라면 각각의 평가뷰를 "하나의" 주요원장에 연결하고 대신 평가뷰는 통화유형으로 구분하는 방식이다.

 

반면에 '다중평가원장' 방식은 각각의 평가뷰를 각각의 원장에 연결하는 방식이다. 

 

 

IMG: CO 버전의 원장 정의 (단일평가원장 방식으로 세팅할 경우)

 

 

IMG: CO 버전의 원장 정의 (다중평가원장 방식으로 세팅할 경우)

 

만약 평가뷰를 여럿 사용하지 않는 경우라면 그냥 주요 원장인 0L과 버전 0만 연결하면 끝이다.

 

 

 


 

4. 관련 테이블

 

  • FINSC_VERSN_LD: Determine G/L Ledger for CO-Version (TP only, no COGM!)

 

TABLE: FINSC_VERSN_LD

 

테이블은 아주 간단한 형태의 매핑 테이블이다.

 

테이블 명칭에 주의사항이 아주 잘 쓰여있다. TP only라는 것은 '000' 버전을 제외한 버전은 손익센터 평가나 그룹 평가와만 연결할 수 있단 의미이고, no COGM!이란 것은 Parallel COGM 버전과는 연결할 필요가 없단 뜻이다. Parallel COGM은 이 세팅이 없었던 ECC부터 있던 기능이기 때문인 것 같다.

 

 

 


 

5. 이어서...

 

IMG 메뉴의 "일반관리회계"에서 우선적으로 살펴볼 부분은 다 봤다. 이제 "코스트센터 회계"로 이어가려고 한다. 그리고 복합 CO-PA(Combined CO-PA)에 대해서도 쓸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