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 IMG 세팅

#4. 버전 유지보수

배경 설명

'IMG 세팅' 카테고리에서는 개별 IMG Configuration 매뉴얼을 작성하고자 한다. 각 IMG 세팅의 목적, 연결관계, 용례, 개별 필드의 의미 등에 대해 기술한다. 나의 경험과 각종 교재, SAP HELP 문서 등을 참조해서 작성하겠지만 정답은 아닐 수 있다. 솔직히 이건 왜 있는 건지 제대로 모르는 메뉴도 많다. 참고해서 봐주시길 바라며 많은 도움이 되길 빈다.


 

1. 개요

 

CO의 여러 컴포넌트에서 전반적으로 사용하는 '버전(Version)'이라는 게 있다. 버전의 정의를 따져보자면 CO 모듈 내에서 기록되는 트랜잭션을 관리하는 단위라고 보면 된다. '버전'이라는 말이 일반 명사이다보니 구분하기 위해 "CO 버전"이라고 하거나 또는 "계획 버전"이라는 말을 쓴다.

 

관리회계 내의 대다수의 트랜잭션은 이 버전을 통해서 입력된다. S/4HANA 시대인 지금은, CO 만의 별도 원장이 존재하는 게 아니고 회계 전체적으로 통합 원장(Universal Journal)과 합쳐졌기 때문에 '버전(Version)'과 '원장(Ledger)' 필드 두 가지가 모두 필수 필드가 됐다고 보면 된다.

 

'원장'처럼 '버전'도 여러 가지를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이 중에서 실적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버전은 "기본적으로는" 0번 버전뿐이다. 그 외에 CO 평가뷰(통화 및 평가프로파일) 설정에 따라 최대 3개까지 실적 버전을 생성하는 게 가능하긴 하다. 이에 관련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조하면 된다.

 

 

2022.02.21 - [SAP CO/기본 개념] - CO 관련 원장, 통화, 평가뷰 - (3) 평가뷰

 

CO 관련 원장, 통화, 평가뷰 - (3) 평가뷰

통화유형과 원장에 대해서 살펴봤다. 이어서 평가뷰도 이들과 뗄래야 뗄 수 없는 항목이어서 함께 이야기하고자 한다. 평가뷰는 재고를 여러 방식으로 평가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이 글은 아래

ckm3.tistory.com

 

 

평가뷰에 대한 얘기는 복잡하니까 빼놓고 생각해보자. 기본적으로 계획과 실적을 모두 담을 수 있는 버전은 0번 버전이다. 그 외에 우리가 추가하는 버전은 모두 계획 데이터만 입력할 수 있다. 0번 버전은 SAP를 처음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공통 버전이다. 따라서 그 외의 버전은 모두 사용자가 추가한 버전이라고 보면 된다.

 

그럼 어떤 용도로 버전을 추가해서 쓸까? "비즈니스 시나리오에 따라 여러 가지 방식으로 계획을 수립하고자 할 때 쓴다..."는 것이 기본 설명이다. 실무적으로도 사업계획/경영계획을 여러 버전으로 수행하고자 할 때 쓰곤 한다. 또, CCA 방식을 통한 예산 통제 기능을 구현할 때도 이 버전 코드를 활용하곤 한다.

 

 

 


 

2. IMG PATH

 

 

IMG PATH

 

  • PATH: 관리회계 > 일반 관리회계 > 조직 > 버전 유지보수
  • T-CODE: OKEQ

 

 


 

3. 화면 설명

 

 

일반 버전 정의

 

화면을 보면 우측에 CO에서 사용하는 전체 버전 리스트가 있고, 좌측에는 각 버전의 상세 세팅으로 이어지는 메뉴가 표시되어 있다.

 

우선 좌측 화면부터 보자.

 

 

(1) 버전의 상세 세팅

 

버전의 상세 세팅

 

좌측을 보면 ① 경영 단위의 설정, ② 손익센터 회계 설정, ③ 관리회계영역 세팅, ④ 진행 분석 설정(프로젝트 시스템) 이렇게 네 가지 메뉴로 구분되어 있다. 이는 CO 컴포넌트별로 버전의 상세 세팅을 할 수 있단 의미로 이해하면 된다. 

 

우측의 버전 리스트에서는 전체를 총괄하는 버전의 값을 정의하고, 좌측의 메뉴를 통해 CO의 서브 컴포넌트별로 상세 세팅을 한다. 경영단위는 CO-PA, 손익센터는 EC-PCA, 관리회계영역은 CO-OM, CO-PC에 해당하는 항목이다. 이중 Classic PCA와 관련한 설정은 S/4HANA 시대에서는 더이상 필요하지 않은 세팅이 되었다.

 

각 영역별 상세 세팅은 다른 글에서 살펴보도록 하고 이어서 우측의 화면을 보자.

 

 

(2) 일반 버전 개요

 

 

일반 버전 개요

 

사용할 수 있는 전체 버전의 리스트와 파라메터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앞서 말했듯이 0번 버전은 항상 기본이며 삭제도 불가능한 버전이다. 실적은 꼭 이 버전으로 들어온다. CBO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하드코딩해도 무방한 항목이 되겠다. (화면 표기와 달리 기술적으로는 '000'이란 값으로 되어 있다)

 

버전의 계획과 실제 플래그

 

계획값을 입력할 수 있는 버전에는 계획, 실제값을 입력할 수 있는 버전에는 실제를 찍는다. PS 모듈을 위한 버전을 제외하고, CO에서 실제값을 입력할 수 있는 버전은 기본적으로는 하나 뿐이다. 여기서 평가뷰를 사용하는 경우에 한해 최대 2개까지 확장은 가능하다. 결국 CO에서 가능한 실적 버전은 최대 3개란 뜻이 된다. 나머지는 다 계획용 버전이다.

 

 

버전의 WIP/RA, 차이 플래그

 

'WIP/RA' 항목은 WIP 계산과 Result Analysis 기능을 이 버전에서 사용하겠는지를 정하는 파라메터이다. WIP 계산은 공정중재고, 다시 말해 재공품을 계산하기 위한 기능이고(T-CODE: KKAO), RA는 프로젝트 항목의 진행 매출을 계산하기 위한 기능이다(T-CODE: KKAJ). 기본적으로 실적을 담는 버전이라면 이 항목은 체크한다.

 

'차이' 항목은 차이 계산 기능을 이 버전에서 사용하겠는지를 정하는 파라메터이다. 차이계산은 CO에서 결산 시 코스트센터, PCC, 생산오더에서 사용하는 기능이다(T-CODE: KSS1, KKS5, KKS1) 이 역시 실적을 담는 버전이라면 기본적으로 체크한다.

 

 

버전의 독점 사용 지정

 

마지막으로 '독점 사용' 항목은 특정 기능만을 위해서 고정된 버전으로 사용하고 싶을 때 설정한다. 입력 가능한 리스트를 보면 여러 가지가 뜨는데, 이 부분은 나도 잘 모르겠다. 문서를 찾아봐도 보이질 않고... 혹시 아시는 분이 있으시다면 혼자만 알고 계시지 말고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0번 버전은 독점 사용 세팅을 해서는 안 된다.

 

 

S/4HANA 변화 사항
S/4HANA부터는 FI 원장(총계정원장)과 CO 원장이 하나로 통합되었다. 시스템 테이블로는, 총계정원장은 BKPF, BSEG였고 CO 원장은 COEP였다. 이 두 원장이 통합원장(Universal Journal)으로 합쳐졌고, 이제 테이블 ACDOCA로 집계된다.

이렇게 두 원장이 하나로 합쳐지면서 CO에서 발생하는 버전값이 어떤 원장 코드로 들어오는지도 정의가 필요하게 됐다. 따라서 추가 IMG 액티비티로 'CO 버전의 원장 정의'라는 항목이 생겼다. 여기서 각 버전의 데이터가 통합원장의 어떤 원장 코드로 들어오는지 정의한다.

또, 이미 New G/L 시대부터의 변화 사항이지만, 손익센터 회계에 대한 버전 설정(Classic PCA)은 더 이상 필요 없게 됐다. 이미 그때부터 손익센터 회계는 별도 원장을 사용하지 않고, FI 원장과 통합되었기 때문이다.

 

 

 


 

4. 관련 테이블

 

  • TKVS: CO 버전 테이블
  • TKVST: CO 버전 텍스트
  • TKA09: 버전 기본세팅(관리회계 영역)
  • TKEVS: CO-PA 버전 속성
  • T895PCA: 손익 센터 회계 설정

 

 

테이블: TKVS(CO 버전 개요)

 

테이블 TKVS는 CO 버전 개요에 대한 테이블이다. TKVS의 텍스트 테이블은 TKVST이다. 여기서 버전의 전체 리스트와 기본 세팅을 확인할 수 있다.

 

 

테이블: TKA09(관리회계 영역 종속 버전 기본 세팅)

 

관리회계 영역에 대한 버전 상세 내역 테이블은 TKA09이다. 만약 관리회계 영역을 KEY로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이 테이블도 함께 참조하여 버전 값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테이블: TKEVS(CO-PA 버전 속성)

 

CO-PA에 대한 버전 상세 내역 테이블은 TKEVS이다. 만약 경영단위를 KEY로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이 테이블도 함께 참조하여 버전 값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테이블: T895PCA(EC-PCA 버전 속성)

 

EC-PCA에 대한 버전 상세 내역 테이블인 T895PCA이다. 이 테이블은 이제 잊어도 된다.

 

 

 


 

5. 이어서...


관리회계 영역에 대한 버전의 상세 세팅부터 알아보자. 이후 경영단위에 대한 버전의 상세 세팅을 알아보고, 이어서 버전과 원장의 연결 세팅을 살펴볼 예정이다.